금요일 오후 공시의 주요 내용을 정리합니다. <편집자주>

| 스마트에프엔 = 김준하 기자 | 보험설계사들의 불법 영업 행위가 적발되면서 흥국화재, 롯데손해보험, DB손해보험, 한화손해보험, 현대해상, 삼성화재, KB손해보험 등 손해보험사가 금융당국의 제재를 받았다.
금융감독원은 5일 이들 보험사 소속 설계사들에 대해 금융위원회에 등록취소, 업무정지, 과태료 부과 등 제재를 건의했다고 공시했다.
가장 무거운 제재를 받은 건 흥국화재 설계사다. 전직 설계사 1명이 2020년부터 2021년 사이 모집한 5건의 계약과 관련해 총 649만원을 대신 납부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는 보험업법의 특별이익 제공 금지 조항을 위반한 것으로, 금감원은 해당 설계사에 대한 등록취소 조치를 건의했다.
롯데손해보험 전직 설계사는 2024년 1월 맺은 계약 2건에서 자필서명을 받지 않고 대신 기재했으며, 같은 달 모집한 4건 계약에서는 총 61만8100원의 보험료를 대납했다. 금감원은 해당 설계사에 대한 과태료 부과와 함께 업무정지 조치를 건의했다.
DB손보에서는 3명의 설계사가 적발됐다. 한 명은 2023년 모집 계약 2건에서 계약자 서명을 대신 작성했고, 다른 두 명은 각각 47만1000원, 18만3570원의 초회보험료를 대신 납부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들에 대해서도 과태료와 업무정지 조치가 건의됐다.
한화손보 소속 설계사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모집한 8건 계약에서 자필서명을 받지 않고 대신 작성해 과태료 부과가 건의됐고, 현대해상 교차설계사(다른 업종의 보험을 계약할 자격을 가진 설계사) 역시 2021년 모집한 2건 계약에서 서명을 대신 기재한 사실이 적발돼 같은 처분을 받았다.
삼성화재 소속 설계사도 2021년 모집한 1건 계약에서 자필서명을 대신 기재해 과태료 건의 조치가 내려졌다. KB손해보험 전직 설계사는 2024년 실제 명의인의 동의 없이 계약 1건을 모집한 사실이 확인돼 과태료 부과 건의가 이뤄졌다.
-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서 17억원 배임···올해만 7번째 금융사고
-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해킹 사태에 "변명 여지 없어, 전액 보상"
-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 책무구조도 포함···제외 논란 2개월만
- [뒤통수 치는 의료자문 ④] "의료자문은 명칭 사기"···김미숙 활동가의 '팩트폭력'
- IBK기업은행, 19억원 금융사고···"업무상 배임"
- 부당 '보험 갈아타기', 보험료 대납···대리점·보험사 불법 영업 제재
- [뒤통수 치는 의료자문 ③] 이럴 거면 손해사정사 왜 있나···'유명무실' 감독규정
- [뒤통수 치는 의료자문 ②] 보험금 부지급은 '답정너?'···메리츠화재, 사문서 변조 정황
- [뒤통수 치는 의료자문 ①] 보험사 믿었다 날벼락···사기꾼으로 몰린 계약자들
- 수협은행 금융사고 42억원으로 늘어···"외부인과 직원 공모"
- "20년간 공시 안 해"···경제개혁연대, DB 자본시장법 위반 의혹 제기
- 토스뱅크 '안심보상제', 사기피해 회복에 54억원 지원
- 은행 2분기 BIS 자본비율 상승···규제비율 상회
- "공공기관 지정 철회"···금감원 직원들 '검은 옷' 시위
- 자동차보험 부정수급 대책 공방···"과잉치료 억제vs환자 권리 침해"
- 롯데카드, 미성년자 정보 수집 법규 위반···금감원 '제재·개선' 통보
- 미래에셋증권, 개인투자용 국채 9월 청약···1400억원 규모
- 카카오뱅크, 대화형 AI 서비스 이용자 누적 100만명
- [현장] '2조5000억 사기혐의' 송갑용 피고소···"기자 상대로 무고·소송사기"
- [주간금융] 코스피 역대 최고치···금감원 "공공기관 지정 철회" 시위
- [현장] KB손해사정 노조 "임금·성과급 차별 해소하라"···누적식 연봉제는 철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