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자's 정밀농업 국내탐방③]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김미정 기자 2019-08-14 10:15:00
'농업 혁신과 가치 확산으로 경쟁력 있는 농업을 만든다'는 슬로건을 내건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최근 미래세대 농업인 육성과 전문 농업 경영인 양성을 위해 '농식품 ICT 융복합 확산'을 추진 중이다.

국가 차원의 전문 농업인 양성 과정이 열을 올리고 있는 현 시점, 보급 과정과 진행 현황은 어느 정도일까?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인재기획실 김학선 대리의 얘기를 들어봤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인재기획실 김학선 대리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인재기획실 김학선 대리


Q1. 농고, 농대생들을 대상으로 한 후계 인력 양성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가?

A. 현재 농정원에서는 농촌 고령화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후계 영농인 양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고안하고 있다. 최근에는 청년 농사꾼 지원 사업을 개정하여 2007년부터 이어져 온 학교 당 1억 원의 지원 사업과 함께 창조 농업 선도고를 개설하여 영농을 위한 학생들을 양성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영농 창업 특별 과정 5개 대학 및 해외 연수 프로그램 진행도 병행하고 있다.

Q2. 그렇다면 기존 농민들에 대한 교육 과정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하다.

A. 기존 농업인을 위한 교육과정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먼저 현장 실습 교육장은 전국 100여 개 우수 농가를 선정하여 주변 농민들이 찾아가 새로운 농법 및 관리 기술을 배우는 정책이다. 이어 대표 실습장 정책은 주로 대학교나 기관이 지정 되는데, 기존 농민들은 이곳에서 첨단 기술이나 새로운 농법의 활용 등을 교육 받게 된다. 마지막으로 공모 과정을 통한 교육으로 농민들이 필요로 하는 경영, 회계 등의 교육프로그램을 농민 스스로가 공모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여 받는 방법이 있다.

Q3. 정책 입안 과정에서 해외 사례 참조여부가 있다면? 또,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인지?

A. 해외 사례를 다양하게 참조하고 있지만, 그대로 수용하여 활용하기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는 근본적으로 교육시스템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와는 별개로 정책 입안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교육 성과 평가다. 농업의 경우 농법과 별개로 다양한 환경적 변수가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이라는 하나의 독립변수로 소득 증대나 농사 환경 개선이라는 종속 변수를 판단하기란 어렵다고 생각한다.



김미정 기자 liz4435@hanmail.net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