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선진국 스마트팜 정책·기술④] 일본·중국, 亞 스마트 유통혁신 이끈다

김수진 기자 2019-09-04 17:23:00
[스마트에프엔=김수진 기자] 기계화, GPS, 무선 감지기, 드론 등의 생산시스템을 중심으로 스마트팜 시장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팜 생산시스템의 보급이 매우 빠른 속도록 확대될 전망이다. 전체 농업 장비 시장에서 스마트팜의 비중은 현재 미약하지만,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은 상황이다. 세계 각국에서도 ICT를 활용하여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사물인터넷(IoT) 등 타 부문과의 융합이 가속화 되는 추세다. <스마트fn>에서는 주요 농업 선진국의 스마트팜 관련 정책 및 기술 동향을 짚어봤다. -편집자 주-


일본은 2004년 ʻ신산업 창조전략ʼ을 통해 융합 신산업 창조전략을 추구하고, 2011년 i-Japan 전략을 수립하면서 농업을 ICT융합 기반의 신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6대 중점 분야로 선정했다. 일본의 농업·ICT 융합 기술은 기계화, 편리성 도모, 수익향상, 건강증대, 안정성 확보 등의 측면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u-Japan 전략(2004년), i-Japan 전략(2011년) 등 ICT 융복합 정책이 추진되면서 농업에 유비쿼터스 기술 적용이 시도됐다. 2011년 i-Japan 전략을 수립하면서 농업을 ICT융합 기반의 신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6대 중점분야 중 하나로 선정해 농업에 대한 R&D 투자를 확대했다.

2010년 농업의 성장산업화 전략의 하나로 ʻ농업 6차산업화ʼ를 도입했으며,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2011년 3월에 6차산업 관련법을 제정하였고 지역 활성화로 이어 지도록 각종 지원을 하고 있다. 2014년 농림수산성을 주축으로 ʻ농업 정보의 생성·유통 촉진 전략ʼ(2014.6)을 수립하고 농업 관련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 활성화를 모색했다.

총무성은 지능형 농작물 생산 시스템, ICT를 활용한 농업 생산지도 시스템, ICT 기반의 청과물 정보 유통 플랫폼 등 다양한 시범사업을 전개했다. 농업·ICT 융복합 기술인 Smartagri 시스템, 영농정보관리시스템(FARMS, Farm Management System)을 개발하여 농업의 기계화·자동화 구현했다.

중국은 식량안보 문제 해결을 위해 농업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ICT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농업과 ICT를 접목하기 위한 다양한 R&D 정책을 마련하고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2014년 1월 국무원이 ʻ농촌개혁의 전면적인 심화와 농업현대화 가속화에 관한 의견ʼ을 발표하는 등 농업 기술 혁신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농업 산업기술시스템 건설 지원, 농업 전 과정의 정보화 및 기계화, 선진 농업 적용기술 보급·응용과 농민 대상의 기술훈련 강화 등 농업과 ICT를 결합하기 위해 중국 정부가 추진해야 할 기술 혁신 과제들을 제시했다.

중국 정부는 농업 현대화를 위한 선진기술 도입 차원에서 네덜란드, 이스라엘 등 농업 선진국 정부와의 파트너십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정부 주도의 농업·ICT 융합 R&D 진흥 정책에 힘입어 민간 참여가

활발히 진행되는 등 현재 농업·ICT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김수진 기자 sjk@thekpm.com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