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바이오·반도체 기업 73% “공급망 호전 난망”

공급망 위협요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신종모 기자 2023-01-04 13:42:45
[스마트에프엔=신종모 기자] 이차전지(Battery)․바이오(Bio)‧반도체(Chip) 산업군(이하 BBC)에 속한 기업 10곳 중 7곳은 새해 공급망 상황이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악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사진=연합뉴스


대한상공회의소가 4일 발표한 ‘BBC 제조기업의 공급망 체감도 조사’에 따르면 새해 공급망 상황에 대한 예상을 묻는 질문에 절반이 넘는 기업들이 ‘지난해와 비슷할 것’(51.7%)으로 답했다. ‘호전될 것’으로 전망한 기업은 27.3%, ‘악화될 것’이란 답변은 21%를 차지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약바이오’(‘비슷’ 60.2%, ‘악화’ 20.5%, ‘호전’ 19.3%), ‘이차전지’(‘비슷’ 56%, ‘악화’ 17.9%, ‘호전’ 26.1%), ‘반도체’(‘비슷’ 43%, ‘악화’ 23.4%, ‘호전’ 33.6%) 순이었다. 

BBC 기업들이 새해 가장 우려하는 공급망 위협요인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BBC 제조사들의 지난해 대비 새해 공급망 상황 예상. /자료=대한상의


BBC 기업들이 ‘공급망 위협요인별 영향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보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5점 만점에 3.9점, 점수가 높을수록 위협적)가 가장 높았다. 이어 ‘미‧중 패권경쟁 등 자국우선주의 심화’(3.8점),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3.7점), ‘코로나 펜데믹 재확산’(3.4점) 순이었다. 

실제로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반도체 생산에 사용되는 네온가스 등 천연가스의 가격이 최대 20배 이상 치솟으며 반도체 생산이 차질을 빚은 적도 있었다.

대한상의는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완화, 엔데믹으로의 전환 등 긍정적 요인들에 힘입어 공급망 상황의 호전을 예상한 기업 비중이 악화로 전망한 기업보다 많긴 했다”며 “공급망 피해가 심했던 지난해와 비슷할 것이란 답변까지 포함하면 BBC 산업 전반이 공급망 불확실성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게 맞다”고 분석했다.

공급망 위협요인별 경영 영향 평가(5점 만점). /자료=대한상의 


BBC 기업들은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공급망 불안 해소를 위한 대응 여부’에 대해 응답기업의 절반가량이 ‘이미 대응하고 있거나 대응책 마련 중’(48.3%)이라고 답했다. ‘현재 대응않고 있지만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답한 기업도 39%에 달했다. ‘대응 계획 없다’는 답변은 12.7%에 그쳤다.

가장 우선순위로 시행 혹은 계획 중인 대응책은 ‘조달·판매처 다각화’(43.9%), ‘기술·경쟁력 강화’(23.2%),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10.3%), ‘공급망 내 현지화 전략 확대’(8.4%)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공급망 애로 해소를 위한 ‘현지화 전략’ 차원에서 생산기지 이전 등 해외시장 진출을 검토한 경험이 있냐는 질문에는 10곳 중 4곳에 해당하는 기업이 ‘검토한 적 있거나 검토 중’(39.7%)이라고 답했다. 업종별로는 ‘이차전지’(45.2%), ‘반도체’(42.2%), ‘제약바이오’(30.7%) 순이었다. 

공급망 불안 해소를 위한 정부의 정책과제로는 ‘거래처 발굴 지원’(35.3%), ‘대·중소기업간 공급망 협력 생태계 구축’(16.3%), ‘보조금 및 세액공제 확대’(14.7%)를 차례로 꼽았다. 

BBC 기업들의 경영활동은 지난해에 비해 다소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새해 사업운영 방향에 대해 절반 이상의 기업들이 ‘소극적 긴축경영을 계획 중’(51.7%)이라고 답했다.

BBC 분야 투자 계획에 대해서도 ‘지난해보다 줄일 것’이라는 응답 비중(62.7%)이 ‘늘릴 것’이란 답변(37.3%)을 크게 웃돌았다. 업종별로는 ‘반도체’(68.8%), ‘제약바이오’(67%), ‘이차전지’(48.8%) 순이었다. 

수출에 대한 전망 역시 ‘지난해 대비 감소’를 예상한 기업의 비중(57.3%)이 ‘증가’(42.7%)보다 많았다. 

김문태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새해에도 공급망 분절화 현상은 계속될 것이고 조달처 다각화와 차세대 기술개발, 생산기지 이전 등 기업들의 극복 노력도 진화해 나갈 것”이라며 “정부의 투자세액공제 확대 조치가 시행될 수 있도록 국회의 입법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종모 기자 jmshin@smartfn.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