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부 "IRA 우회 안돼"...테슬라-CATL 파트너십 '숨통 조이기'

美연방 하원, "테슬라와 CATL 거래현황과 향후 계획 밝혀라"...IRA보조금 유출 방지
테슬라, CATL파트너십 장기적 구상에서도 배제하기 힘들어
박재훈 기자 2023-09-25 10:37:53
미국 의회가 인플레이션 방지법(IRA) 보조금이 중국 배터리 기업에 들어갈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테슬라에 CATL과의 계약상황을 밝히라고 촉구했다. 테슬라는 모델Y와 모델3에 CATL의 배터리를 탑재해 판매하고 있다.

테슬라는 향후 부품 생태계 구축으로 후발 주자들과의 격차를 벌리는 구상을 계획하고 있는 가운데 주요 배터리 공급사인 CATL과의 협업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일(현지시간)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 연방 하원 세입위원회의에서 제이슨 스미스 위원장은 테슬라의 CEO(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에게 중국 배터리 업체인 CATL과 계약을 맺고 있거나 향후 계획에 대해 밝히라고 요청했다.

중국 상하이 테슬라 기가팩토리 전경. /사진=테슬라코리아


IRA 보조금이 테슬라를 통해 중국 기업으로 유입되고 있는 정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지난 4월 미국 자동차 업체 포드와 CATL이 합작공장을 세워 IRA를 우회하려고 한 것처럼 중국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보조금 유출을 방지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포드는 CATL과 합작공장을 세우기 위해 포드가 지분을 100% 가지고 CATL이 기술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IRA를 우회하려 한 바 있다.

테슬라 또한 포드의 방식과 유사하게 IRA를 우회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일론 머스크가 지난 5월 중국에 방문했을 당시 CATL의 회장과 따로 면담을 가졌으며 현재 북미에서 판매되고 있는 모델Y와 모델3에 CATL의 배터리가 탑재돼 있다.

테슬라는 최근 장기적 기술투자와 인프라 구축으로 내실 다지기 전략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전기차 후발주자들과의 기술격차가 좁혀지고 있고 제품 라인업에서 경쟁력이 이전과 같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 5일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3'에 마련된 CATL 전시장을 관람객들이 둘러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테슬라는 최근 전기차 충전 인프라와 더불어 제품 생태계 구축을 통해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키우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의 이호중 책임연구원이 발표한 '테슬라 48V 아키텍처 도입의 의미'에 따르면  테슬라가 도입하는 48V아키텍처 기술은 제품 생태계를 구축하면서 경쟁업체의 추격 부담을 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에는 48V 도입을 통해 단기적으로 납품 단가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지만 아키텍처 혁신을 통해 부품 생태계 장악력이 강화됐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기존 12V 부품을 사용하는 시장에서 48V부품은 수요처가 테슬라로 한정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올라간다. 하지만 48V부품을 사용해 기술 개선이 이뤄진다면 장기적으로는 선제적인 투자를 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테슬라가 미국과 중국 등 여러지역에서 가격인하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것과도 상관관계가 있다. 

테슬라가 펼치는 전략과 구상에 따르면 제품 파트너사와의 협업은 필수적이다. 이런 가운데 배터리에서 가장 큰 파트너사인 CATL과의 협업에 지장이 가는 것은 앞으로의 구상에도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48V도입에서도 테슬라가 가장 크게 기대하고 있는 부분은 차체 경량화를 통해 차량에 탑재하는 배터리 무게에서 한 층 자유로워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진=로이터


테슬라가 다른 전기차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주행거리를 개선해야하는데 주행거리는 배터리의 크기와 비례한다. 또한 가격경쟁력 또한 놓칠 수 업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서는 LFP(리튬·철·인산)배터리 사용이 교집합에 해당하며 CATL은 LFP배터리에서 가장 경쟁력있는 업체로 거론된다. CATL이 테슬라의 향후계획에서도 중요한 파트너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미국은 지속적으로 IRA의 보조금 유출을 막기 위해 전기차업체들과 CATL의 협업을 막고 있는 가운데 테슬라가 이번에는 도마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IRA를 우회하기 위해 계속해서 미국과 FTA를 체결한 국가와 합작사 설립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지만 테슬라와 포드의 사례처럼 문턱은 좁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박재훈 기자 isk03236@smartfn.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