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자's 스마트팜 클로우즈업] 농업의 4차 산업화로 인한 부작용과 대응

박찬식 기자 2019-09-11 16:08:35

[스마트에프엔=박찬식 기자] 향후 10년간 세계 농업구조는 지난 반세기 동안의 변화보다 훨씬 더 큰 변화가 예상된다. 농업과 빅데이터의 결합은 농산업 모든 과정(생산에서 소비까지)을 환골탈태(換骨奪胎)시킬 것이다.

빅데이터로 농업 생산성 제고, 각종 질병과 자연재해 예방은 물론 소비자의 행동과 생각까지도 분석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다. 농업관련산업의 재창조, 새로운 농업비즈니스 창출, 가치전달 모델의 재구성, 농산물 물류와 유통의 획기적 변화가 예상된다.

농업생산과 농촌생활 등 농업․농촌 시스템을 아우르는 가치사슬에 ICT 기술이 융․복합되면서 생산성, 효율성, 소비자만족도가 극대화된다. 생산의 고도화, 유통의 효율화, 경영의 선진화는 물론 농촌생활의

편리함과 소비자 만족까지 고려하는 기술생태계의 탄생이 기대된다.

4차 산업혁명의 기회요인은 물론 잠재적인 위협요인도 상존한다. 고령화, 농업경쟁력 약화, 기상이변 등의 문제점 해결과 농업 종사자의 일하기 좋은 환경 만들기에 적용되는 것은 기회요인이다. 농업관련 산업의 효율성과 효과성 향상의 이점은 있지만 ‘고용 감소’에 대한 우려도 상존하는 것이 사실이다.

개인 농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회사가 수집함으로 인해 데이터 사용에 대한 소유권 문제 발생 우려도 있다. 4차 산업 기술의 쏠림 현상과 승자독식의 환경변화는 경쟁력이 취약한 영세농의 경우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

미국, 네덜란드 등 선진국의 농업 방식을 그대로 우리농업에 적용하는 것은 부작용이 우려된다. 대규모 농가를 대상으로 하는 ‘선택과 집중형(型)’ 모델을 우리와 같은 소규모 농가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무리다. 다양한 품목을 생산하는 소규모 농가가 중심인 우리나라 농업 여건에 적합한 ‘한국형 모델’을 개발 하는 것이 우선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작업 효율화, 비용절감, 경영 노하우 등의 축적으로 작지만 강한 ‘디지털 강소농(强小農)’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빅데이터가 21세기의 석유로 급부상하면서 세계는 빅데이터의 소유권 관련 논란이 불붙고 있는 상황니다. 英경쟁시장청은 2015년 발간한 보고서에서 ‘시장 지배적 사업자는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그 지위를 악용할 소지가 커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국은 한 발 더 나아가 중국내 생산 데이터의 해외 반출을 막는 법을 통과시키며 ‘빅데이터 주권’을 주장한다.

빅데이터의 소유권이 국제문제로 등장했다는 의미로 우리나라에서도 조만간 기업의 빅데이터 독점여부를 조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앞으로 10년뒤 농업 현장은 지금과는 상상도 못할 정도로 바뀔 것이다. 그 변화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대비가 필요하다.



박찬식 기자 park@thekpm.com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