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자's 스마트팜 클로우즈업] 불꽃 의지 정부, 관심 없는 농민

박찬식 기자 2019-10-02 15:17:04

우리나라 농업은 기술혁신 시대에 직면해 있다. 스마트농업·디지털농업·정밀농업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작물 생육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한다는 데 있다. 이전까지 농업이 농부의 오랜 경험과 감에 의존해왔다면, 이제는 체계화된 시스템과 매뉴얼로 작물을 생산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농업에 ICT(정보통신기술) 등 첨단 산업 시스템이 스며들었을 때 창출될 부가 가치는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다. 농지 단위면적당 생산량 증진은 물론이고, 농업인들의 노동 강도·근무 시간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농업이라는 거대한 산업 시스템을 현대 정서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이러한 변화를 꾀하기 위해서 우리 가야할 길은 아직 멀고도 험하다. 전자·철강·화학 등 핵심 제조업이나 정보기술(IT), 바이오기술(BT)의 수준이 선진국 못지 않은 기술을 갖췄음에도 농산업은 여전히 낙후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스마트 농업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지만, 정작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농민들의 수가 일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최근 스마트 팜 등 생육환경의 최적화를 통해 생산성 향상, 생산 안정화, 경영수익 개선을 실현하고 있는 사례들이 나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이는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지원과 일부 선진적인 농민이 맺은 결실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해부터 적극 추진 중인 스마트 팜 확산사업 안내표.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해부터 적극 추진 중인 스마트 팜 확산사업 안내표.

스마트농업 체계 구축에 앞장 선 우리 정부


대표적인 사례로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해부터 적극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 팜 확산사업이 있다. 스마트 팜이란 스마트폰이나 PC로 언제, 어디서든 작물·가축의 생육환경을 점검하고 적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농장을 말한다. 이 사업은 기존의 개별농가 지원 방식에서 청년농업인과 전후방사업으로 정책 대상을 확대했다.

스마트팜 확산사업 지원자에 선정되면 정부가 제공하는 여러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다. 자동화시설 구축에 필요한 장비 수급비용의 상당 부분을 지원해주고 운용에 필요한 가이드라인도 명확히 진단해 준다.

이와 더불어 교육·연구·생산 기능이 집적화된 거점으로 ‘스마트팜 혁신밸리’란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현재 유럽·미국·일본·중국 등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한 세계 농업과의 경쟁구도 속에서 스마트농업의 발전은 외면할 수 없는 시대적 조류다. 세계에서 가장 앞선 시설원예 환경제어기술을 갖춘 네덜란드에선 스마트팜 1㎡당(0.3평) 평균 70㎏의 토마토를 생산하는 농가가 적지 않다. 그만큼 스마트농업은 엄청난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 품질개선을 실현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이러한 스마트농업 및 정밀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장고 끝 대안책을 지속적으로 내놓고 있다. 실제 일선에 선 지역 농민들이 보다 관심을 갖고 시행처와 참여주체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박찬식 기자 park@thekpm.com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