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옥's 스마트팜 프리즘] 어디 이런 '농부' 없나

윤종옥 기자 2019-10-23 09:06:32

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식량 부족 문제가 세계적 이슈로 거론되고 있다. 오는 2050년이면 곡물과 야채에 대한 전세계 수요가 70%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학계 관측까지 나올 정도다.

농업인들은 최근 AI(인공지능)와 ICT(정보통신기술)의 기술 발전 덕에 생산량 증진 효과를 누리고 있지만 정부·연구단체와 재배 노하우, 환경 데이터를 공유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오리무중이다. 자신이 쌓아 온 농업 지식이 경쟁 업체로 유출될 수 있다는 불안한 심리에서다.

난세영웅이라 했던가. 세계적인 식량 부족 문제가 30년 앞으로 다가온 만큼, 첨단 시설을 도입한 농장주들은 '자신의 농장만은 살아야겠다'는 편협된 시각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각종 농업 연구단체와 재배 노하우를 공유해 품종 개량, 문제점 보완 등에 속도를 내야 한다.

식량 부족 문제는 더 이상 아프리카 원주민, 경제 후진국만의 얘기가 아니다. 3차례에 걸친 경제개발 정책으로 눈부신 성장을 이룩한 우리나라도 비단 예외는 아니다. 인간을 위협하는 각종 재해는 최근 수 차례 불어닥친 태풍과도 같다. 어떠한 예고도 없이 갑작스레 발생해 우리가 이룩한 모든 것을 휩쓸어 간다. 농업인과 정부, 연구단체의 협업을 토대로 늦지 않게 식량난에 대비해야 한다는 얘기다.

애초에 사물인터넷(loT)과 ICT는 각 주체 간 공유와 협업을 전재 하에 둔 첨단 기술이다. 자신의 농장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다른 농가들과 비교, 문제점을 찾고 보완 방안을 제시한다. 스마트팜 농가를 운영하면서 경쟁 업체로의 정보 유출을 걱정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모순이다.

농민들의 협업이 왜 중요한가. 일례로 이런 경우가 있다. 한국전쟁으로 멸종한 토종여우를 되살리기 위해 우리 정부와 연구 단체는 수 년간 노력해 왔다. 그러나 야행성이 강하고 번식에 대한 노하우를 알지 못해 실패를 거듭했다.

아이러니하게도 토종 여우를 번식시키는 데 성공한 것은 다름 아닌 개장수였다. 러시아로부터 불법으로 여우를 수입해 길러오다 정부에 덜미를 잡혔다. 연구단체와 정부조차 성공하지 못한 사업을 해당 업종 전문가가 일궈낸 셈이다.

위와 같은 사례를 미뤄볼 때 농업인과 정부, 연구단체도 같은 맥락을 띌 것이다. 정부와 연구 단체에 현지 정보를 전달해 다가온 위기를 모면해야 할 것이다.



윤종옥 기자 yoon@thekpm.com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