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최나철 교수의 빅데이터 활용④ 한계·개선방향

김미정 기자 2019-10-29 10:48:00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우리 농식품 분야 빅데이터는 아직은 통계, 정형화된 데이터 수집과 이들을 활용한 정보서비스 등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며, 농업 생산-유통-소비 분야의 분산된 데이터 수집 체계 등으로 인하여 융복합 서비스로 발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업 인구 감소와 고령화, 이상 기후에 대응한 스마트팜 확산으로 이와 관련한 환경·생육 원천 데이터 수집 및 활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시설원예 작목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으나,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팜 현황 파악 및 분석을 위한 데이터 확보가 미흡한 상황이다.

스마트팜 시설보급 업체마다 데이터 수집 방식이 다르고 PC로 부터 빈번한 연계 단절 문제 발생 및 이들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 부재로 수집데이터 활용 품질이 높지않은 상황이다. 생육·경영 정보의 경우 농가가 자발적으로 제공해야 하지만, 아직 경영주의 인식이 부족한 상태라 관련 데이터 수집이 힘든 상황이다. 농업인의 활용 수준을 고려해 품목별 현장 컨설팅을 병행하는 데이터 분석 서비스로 개선이 필요하다.

민간을 대상으로 농식품 분야 데이터 활용 시 문제점을 조사한 결과 쓸만한 데이터 부족, 데이터 융합을 위한 표준화 및 개인정보 활용 제약 등이 제약사항으로 나타났다. 공공 분야 데이터의 개방은 양적으로는 크게 증가하였으나, 공공데이터의 품질이나 민간에서 비즈니스화하여 활용할 만한 데이터는 부족하고 상세 데이터 일부는 공개 되지 않는 것이 민간의 데이터 융·복합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한다.

분야별 데이터 간 연계를 위한 마스터 데이터, 연계 지원 체계 부재도 불편사항으로 조사되었고, 이용 목적에 맞는 맞춤 데이터 제공 서비스, 가공에 소요되는 비용 지원 등 정책적 지원에 대한 요구도 있었다. 빅데이터 산업은 정부·공공 기관 부문은 데이터 수집 및 활용을 지원하고 민간 부분에서 주도적으로 서비스 모델 등 비즈니스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어야 하지만, 수익성이 담보되지 않는 농식품 분야의 경우 민간의 참여가 낮은 실정이다.

농식품 데이터 축적-가공-유통 생태계 조성을 위해 가장 필요한 농식품 빅데이터 활용 지원 조직, 빅데이터 플랫폼, 빅데이터 생성-활용 관련 주체 간 유기적인 네트워크 등의 기반 구축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주체의 활용 수요에 맞춰 데이터 구축·개방·활용의 체계적 지원을 위하여

정부와 공공기관 간 역할 분담이 필요하며, 기관별로도 역할에 맞는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조직 구성 및 기능 확대가 필요하다.

본격적인 생산·유통·소비 분야와 후방산업이 연계되어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수집되어야 하며, 데이터 활용의 제약사항 개선 및 표준 관리 체계 정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분야별 데이터 축적·가공·유통 표준 마련, 품질 관리 및 분산된 데이터 통합 관리, 이들 데이터 간 융합 분석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농식품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우선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부처, 각 기관별로 수집·생성되는 공공(행정) 데이터의 종류와 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대국민 대상 정책 서비스 개선 및 발굴 관점에서의 데이터 활용 노력은 부족한 상황이며, 단발적인 사업 형태에 그치고 있다. 농식품 분야 정보시스템(EA기준) 194개, 개방 공공데이터 375종을 보유하고 있고 농업 분야별 빅데이터 기반 융ㆍ복합 분석은 대표적으로 채소류 수급예측, 동물질병 확산 대응체계 구축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은 활용이 저조한 상황이다.

각 기관 또는 업무 중심의 단순한 빅데이터 활용도 필요하지만, 현안 대응 등 정책적 활용과 대국민 서비스 분야에 대해서는 실현 가능성과 개선 중심으로 '농식품 빅데이터 활용 로드맵' 수립이 되어야 하고, 민관 및 학계가 함께 중점 과제 발굴 및 단계적 추진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공급자인 정책자 및 데이터 관리자 관점으로 과제가 발굴·추진되어 왔으나, 앞으로는 고객 서비스 및 민간 비즈니스 모델 관점에서의 데이터 수요 및 서비스 모델 발굴을 추진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런 수요 분석 과정을 통해 민간 비즈니스 영역과 중복되지 않는 공공 기능 및 서비스 제공 차원에서 지속적인 모델 발굴 및 대국민 서비스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재 구축 중인 행정데이터, 통계 등 정형데이터의 활용과 함께 영농현장·환경 변화, 농업인의 정책 수요 등 관심 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농식품 분야 비정형 데이터 수집 기반 구축과 정책 서비스 차원에서 활용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김미정 기자 liz4435@hanmail.net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