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최나철 교수 빅데이터 활용② 데이터 공유시스템 확충

김미정 기자 2019-10-23 10:50:00
스마트팜 확산 현황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시설농업 육성 및 첨단 과학 영농을 추진하기 위하여 스마트팜

확산을 국가중점과제로 지정하여 추진하고 있다. 2014년부터 보급사업을 시작으로 2017년 기준 시설온실 4,010ha(현대화된 온실의 40%), 스마트축사 790개소(전업농의 3.4%)에 유형별 스마트팜이 보급·확산이 이루어졌다.

2022년까지 시설원예 7,000ha(시설현대화 면적의 70%), 축산농가 5,750호(전업농의 25%)에 스마트팜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화된 온실 약 10천ha 중 수출이 가능하거나 생산성향상 및 노동력 절감이 기대되는 70%(7천ha)에 보급했다.

전업농의 25%(5,750호)를 대상으로 스마트 축사 보급했으며 스마트팜 확산으로 빅데이터 수집을 확대하고 이들 데이터의 품질 관리 방안을 마련해 연구기관 및 민간 기업의 활용이 확대될 수 있도록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에 노력하고 있다.

스마트팜 데이터 공유시스템

스마트팜 관련 빅데이터 관리기관(농정원)에서는 2015년부터 스마트팜 농가를 대상으로 생육·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활용 체계를 구축해 왔으며 2016년부터 스마트팜 포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온실의 환경·제어·생육 데이터를 기반으로 품·시설·기후 등 조건이 유사한 스마트팜 농가의 정보 분석을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컨설팅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수농가의 환경·생육조건을 비교·분석하여 스마트팜 농가에 생산성 향상을 위한 온실 환경관리(온·습도, 광, 에너지 등)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주요 서비스 내용은 스마트팜 대시보드(연계농가 종합현황, 정보단절 알림 등), 환경(자동), 생육(수동), 경영(수동), 제어(자동) 실시간 정보 제공, 분석 서비스(생육진단, 유통정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8년 10월 기준 243호 농가 대상 9개 품목에 대한 데이터가 약 8억 2천건 수준으로 수집되었고, 20022년까지 800호 농가 대상으로 데이터 수집 확대 목표를 가지고 있다.

환경정보, 제어정보, 생육정보와 관련된 59개 항목을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는 연구기관, 기업체, 대학 등에 제공하여 스마트팜 기술 및 제품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농진청, KIST, ETRI, 서울대, KT, SKT 등 18개 기관 및 기업체에서 활용 중이다.

향후에는 생산단계 정보뿐만 아니라 유통·소비 단계의 정보를 결합해 스마트팜 전주기에 걸친 품목별 분석모델 및 유통·출하 의사결정 모델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생산 품목·유형별 정보수집을 확대(2017년 200호 → 2021년 800호)하고, 유통 이력 및 안전 정보 등도 함께 연계·수집할 계획이다.



김미정 기자 liz4435@hanmail.net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